영국 총리, 영국 선거, 영국 대통령

영국 총리, 영국 선거, 영국 대통령

영국은 입헌군주제 국가로 대통령이 없습니다.
국가원수는 **영국 국왕(현재 찰스 3세, King Charles III)**이며, 실질적인 행정 수반은 **영국 총리(Prime Minister)**입니다.

1. 선출 방식

  • 영국 국왕: 세습 군주제로 윈저 왕가에서 대를 이어 즉위합니다. 현재 국왕은 찰스 3세이며, 다음 후계자는 윌리엄 왕세자입니다.
  • 영국 총리:
    • 영국 총선에서 하원(House of Commons) 다수당의 대표가 총리가 됩니다.
    • 총선은 5년마다 시행되며, 조기 총선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 총리는 국왕이 공식적으로 임명합니다.
영국 총리

2. 권력 승계

  • 영국 국왕의 승계: 국왕이 사망하거나 퇴위하면, 왕위 계승법에 따라 왕세자가 즉위합니다.
  • 영국 총리의 승계: 총리가 사임하거나 해임될 경우, 여당 내부에서 새 대표를 선출하며, 국왕이 이를 총리로 임명합니다. 긴급한 경우 **부총리(Deputy Prime Minister)**가 임시로 총리직을 수행합니다.
영국 총리

3. 역대 영국 국왕 및 총리

(1) 국가원수 – 영국 국왕(King/Queen)

  1.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
    • 출생연도: 1819년
    • 재위 기간: 1837년 6월 20일 ~ 1901년 1월 22일
    • 주요 업적:
      1. 영국 제국 확장 (대영제국 황금기)
      2. 산업 혁명 가속화
      3. 인도 황제 즉위
      4. 영국-독일 관계 강화
      5. 엄격한 도덕적 가치 강조 (빅토리아 시대 형성)
  2. 엘리자베스 2세(Queen Elizabeth II)
    • 출생연도: 1926년
    • 재위 기간: 1952년 2월 6일 ~ 2022년 9월 8일
    • 주요 업적:
      1. 최장기 재위(70년) 기록
      2. 영연방(Commonwealth) 유지 및 발전
      3. 냉전 및 9·11 이후 국제적 위기 속 안정된 국가 운영
      4. 영국 왕실의 현대화
      5. 2012년 런던 올림픽 개최 주관
  3. 찰스 3세(King Charles III, 현 국왕)
    • 출생연도: 1948년
    • 재위 기간: 2022년 9월 8일 ~ 현재
    • 주요 업적:
      1.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성 정책 강조
      2. 영연방 국가들과의 관계 재정립
      3. 왕실 개혁 및 현대화 추진
      4. 영국 내 경제 및 사회문제 대응
      5. 외교 관계 조율

영국 총리

1. 로버트 월폴 경 (Sir Robert Walpole)

  • 출생연도: 1676년
  • 임기: 1721년 4월 4일 ~ 1742년 2월 11일
  • 주요 업적:
    1. 영국 역사상 최초의 총리
    2. 강력한 휘그당(Whig) 정부 운영
    3. 조세 개혁 및 경제 안정화 추진
    4.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전후 경제 관리
    5. 총리직 최장기 재임 (21년)

2. 윌밍턴 백작 스펜서 콤프턴 (The Earl of Wilmington, Spencer Compton)

  • 출생연도: 1673년
  • 임기: 1742년 2월 16일 ~ 1743년 7월 2일
  • 주요 업적:
    1. 월폴의 후계자로서 정부 운영
    2. 정치적 영향력 약화로 단명한 정권
    3. 경제 정책에서 월폴 기조 유지
    4. 국왕 조지 2세와의 관계 조율
    5. 건강 문제로 조기 사망

3. 헨리 펠럼 (Henry Pelham)

  • 출생연도: 1694년
  • 임기: 1743년 8월 27일 ~ 1754년 3월 6일
  • 주요 업적:
    1. 국채 정리 및 세금 개혁
    2. 스코틀랜드 반란(1745년) 진압
    3.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후 영국 경제 회복
    4. 영국 해군 강화
    5. 휘그당 내부 결속 강화

4. 뉴캐슬 공작 토머스 펠럼-홀스 (The Duke of Newcastle, Thomas Pelham-Holles)

  • 출생연도: 1693년
  • 임기: 1차 (1754년 3월 16일 ~ 1756년 11월 16일) / 2차 (1757년 7월 2일 ~ 1762년 5월 26일)
  • 주요 업적:
    1. 헨리 펠럼의 형으로 휘그당 정치 유지
    2. 7년 전쟁(1756~1763) 초기 정책 주도
    3. 재정 개혁 및 국채 관리
    4. 정치적 연정(聯政) 확립
    5. 프랑스-인도 전쟁 개입 추진

5. 데번셔 공작 윌리엄 캐번디시 (The Duke of Devonshire, William Cavendish)

  • 출생연도: 1720년
  • 임기: 1756년 11월 16일 ~ 1757년 6월 25일
  • 주요 업적:
    1. 뉴캐슬 공작 실각 후 임시 총리 역할 수행
    2. 국왕 조지 2세와 갈등으로 짧은 재임
    3. 정치적으로 독립적이었으나 실권 부족
    4. 휘그당 내부 분열 조율 실패
    5. 결국 뉴캐슬 공작이 복귀

6. 뷰트 백작 존 스튜어트 (The Earl of Bute, John Stuart)

  • 출생연도: 1713년
  • 임기: 1762년 5월 26일 ~ 1763년 4월 8일
  • 주요 업적:
    1. 조지 3세의 최측근으로 총리직 수행
    2. 7년 전쟁 종결 (1763년 파리 조약)
    3. 왕권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
    4. 미국 식민지에 대한 세금 인상 (설탕법)
    5. 정치적 반발로 1년 만에 사임

7. 조지 그렌빌 (George Grenville)

  • 출생연도: 1712년
  • 임기: 1763년 4월 16일 ~ 1765년 7월 13일
  • 주요 업적:
    1. 설탕법(1764년)과 인지세법(1765년) 도입 – 미국 식민지에 세금 부과
    2. 미국 식민지의 강력한 반발(‘대표 없는 과세 반대’ 운동 확산)
    3. 조지 3세와의 갈등으로 사임
    4. 영국 해군력 강화 정책 추진
    5. 부패 문제 개선 시도

8. 로킹엄 후작 찰스 왓슨-웬트워스 (The Marquess of Rockingham, Charles Watson-Wentworth)

  • 출생연도: 1730년
  • 임기: 1차 (1765년 7월 13일 ~ 1766년 7월 30일) / 2차 (1782년 3월 27일 ~ 1782년 7월 1일)
  • 주요 업적:
    1. 인지세법(Stamp Act) 폐지
    2. 미국 식민지 문제 해결 시도
    3. 부패 척결 정책 추진
    4. 짧은 재임 후 사임
    5. 두 번째 재임 중 미국 독립전쟁 종결 논의 시작

9. 채텀 백작 윌리엄 피트 (The Earl of Chatham, William Pitt the Elder)

  • 출생연도: 1708년
  • 임기: 1766년 7월 30일 ~ 1768년 10월 14일
  • 주요 업적:
    1. 강력한 해군 정책 추진
    2. 미국 식민지 정책 변화 시도
    3. 정치적 라이벌들과의 갈등 심화
    4. 건강 문제로 퇴임
    5. 후일 아들(윌리엄 피트 주니어)이 총리가 됨

10. 그라프턴 공작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The Duke of Grafton, Augustus FitzRoy)

  • 출생연도: 1735년
  • 임기: 1768년 10월 14일 ~ 1770년 1월 28일
  • 주요 업적:
    1. 미국 식민지 문제에서 강경 정책 유지
    2. 영국 내 부패 개혁 시도
    3. 정치적 지지 부족으로 사임
    4. 이후 정치 활동 지속
    5. 윌리엄 피트 계열 정치인으로 활동
영국 총리

11. 노스 경 프레더릭 노스 (Lord North, Frederick North)

  • 출생연도: 1732년
  • 임기: 1770년 1월 28일 ~ 1782년 3월 27일
  • 주요 업적:
    1. 미국 독립전쟁(1775~1783) 당시 영국 총리
    2. 보스턴 차 사건(1773년) 대응 및 강경책 시행
    3. 영국군의 미국 내 작전 주도
    4. 전쟁 패배 후 사임
    5. 영국 역사상 대표적인 실패한 총리 중 한 명

12. 로킹엄 후작 찰스 왓슨-웬트워스 (The Marquess of Rockingham, Charles Watson-Wentworth)

  • 출생연도: 1730년
  • 임기: 2차 (1782년 3월 27일 ~ 1782년 7월 1일)
  • 주요 업적:
    1. 미국 독립전쟁 종전 협상 개시
    2. 영국 내 개혁 정책 추진
    3. 건강 악화로 재임 중 사망
    4. 그의 사망으로 내각 붕괴
    5. 반부패 개혁 노력 지속

13. 셸번 백작 윌리엄 페티 (The Earl of Shelburne, William Petty)

  • 출생연도: 1737년
  • 임기: 1782년 7월 4일 ~ 1783년 4월 2일
  • 주요 업적:
    1. 미국 독립 인정(1783년 파리 조약)
    2. 영국 외교 전략 재정비
    3. 정치적 고립으로 단명한 정권
    4. 이후 휘그당 개편 참여
    5. 새로운 경제 정책 구상

14. 포틀랜드 공작 윌리엄 캐번디시-벤트인 (The Duke of Portland, William Cavendish-Bentinck)

  • 출생연도: 1738년
  • 임기: 1차 (1783년 4월 2일 ~ 1783년 12월 19일) / 2차 (1807년 3월 31일 ~ 1809년 10월 4일)
  • 주요 업적:
    1. 단명한 첫 총리직 (8개월 만에 사임)
    2. 두 번째 재임 시 나폴레옹 전쟁 지원
    3. 영국 보수당 초기 구조 정립
    4. 공공 행정 개혁
    5. 건강 문제로 정계 은퇴

15. 윌리엄 피트 주니어 (William Pitt the Younger)

  • 출생연도: 1759년
  • 임기: 1차 (1783년 12월 19일 ~ 1801년 3월 14일) / 2차 (1804년 5월 10일 ~ 1806년 1월 23일)
  • 주요 업적:
    1. 영국 역사상 최연소 총리 (24세)
    2.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전쟁 시기 영국 통치
    3. 영국 해군력 강화
    4. 아일랜드 합병 (1801년 연합법)
    5. 전쟁 중 영국 경제 안정화

16. 그렌빌 남작 헨리 애디슨 (Lord Grenville, Henry Addington)

  • 출생연도: 1757년
  • 임기: 1801년 3월 17일 ~ 1804년 5월 10일
  • 주요 업적:
    1. 프랑스와 아미앵 조약(1802년) 체결 → 일시적 평화 유지
    2. 내정 개혁 및 영국 산업 기반 강화
    3. 조지 3세와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4. 프랑스와 전쟁 재개(1803년)로 어려움 직면
    5. 피트 주니어의 복귀로 사임

17. 윌리엄 피트 주니어 (William Pitt the Younger) (2차)

  • 출생연도: 1759년
  • 임기: 1804년 5월 10일 ~ 1806년 1월 23일
  • 주요 업적:
    1. 나폴레옹 전쟁 대응 정책 강화
    2. 대(對)프랑스 연합(제3차 대프랑스 동맹) 형성
    3. 해군력 확대 및 군사력 증강
    4. 영국 경제 회복 노력
    5. 건강 악화로 사망

18. 그렌빌 남작 윌리엄 그렌빌 (Lord Grenville, William Grenville)

  • 출생연도: 1759년
  • 임기: 1806년 2월 11일 ~ 1807년 3월 31일
  • 주요 업적:
    1. 노예무역 폐지법(1807년) 통과
    2. 영국 내 개혁 정권 운영
    3. 조지 3세와 갈등 심화
    4. 보수파 반대 세력의 강한 저항
    5. 결국 정치적 압력으로 사임

19. 포틀랜드 공작 윌리엄 캐번디시-벤트인크 (The Duke of Portland, William Cavendish-Bentinck) (2차)

  • 출생연도: 1738년
  • 임기: 1807년 3월 31일 ~ 1809년 10월 4일
  • 주요 업적:
    1. 피트 주니어 계열 보수당 총리로 활동
    2. 나폴레옹 전쟁 지속 지원
    3. 내부 권력 다툼으로 리더십 약화
    4. 건강 문제로 사임
    5. 이후 정치 은퇴

20. 스펜서 퍼시벌 (Spencer Perceval)

  • 출생연도: 1762년
  • 임기: 1809년 10월 4일 ~ 1812년 5월 11일
  • 주요 업적:
    1. 영국 역사상 유일하게 암살된 총리
    2. 나폴레옹 전쟁 계속 지원
    3. 미국과의 외교 마찰 심화 (1812년 미영 전쟁 발발)
    4. 경제 개혁 추진
    5. 런던에서 암살당함(1812년)

21. 리버풀 백작 로버트 젠킨슨 (The Earl of Liverpool, Robert Jenkinson)

  • 출생연도: 1770년
  • 임기: 1812년 6월 8일 ~ 1827년 4월 9일
  • 주요 업적:
    1. 나폴레옹 전쟁 최종 마무리 (1815년 워털루 전투 승리)
    2. 영국 경제 회복 정책 추진
    3. 산업혁명의 본격적 전개
    4. 정치적 개혁 지연으로 비판받음
    5. 건강 문제로 사임

22. 조지 캐닝 (George Canning)

  • 출생연도: 1770년
  • 임기: 1827년 4월 10일 ~ 1827년 8월 8일
  • 주요 업적:
    1. 영국 외교 정책 강화
    2. 라틴아메리카 독립 국가 승인
    3. 보수당 내 개혁파로 활동
    4. 재임 4개월 만에 사망
    5. 영국 역사상 가장 짧은 총리 임기 중 하나

23. 고드리치 자작 프레더릭 로빈슨 (Viscount Goderich, Frederick Robinson)

  • 출생연도: 1782년
  • 임기: 1827년 8월 31일 ~ 1828년 1월 21일
  • 주요 업적:
    1. 정치적 경험 부족으로 내각 장악 실패
    2. 재정 개혁 시도
    3. 보수파와 개혁파 갈등 해결 실패
    4. 결국 5개월 만에 사임
    5.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

24.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The Duke of Wellington, Arthur Wellesley)

  • 출생연도: 1769년
  • 임기: 1차 (1828년 1월 22일 ~ 1830년 11월 16일) / 2차 (1834년 11월 14일 ~ 1834년 12월 10일)
  • 주요 업적:
    1. 나폴레옹 전쟁 영웅 출신 총리
    2. 카톨릭 해방령(1829년) 통과
    3. 정치 개혁 반대 입장으로 갈등 발생
    4. 1830년 개혁 요구 속 사임
    5. 두 번째 임기는 1개월로 매우 짧았음

25. 찰스 그레이 백작 (The Earl Grey, Charles Grey)

  • 출생연도: 1764년
  • 임기: 1830년 11월 22일 ~ 1834년 7월 16일
  • 주요 업적:
    1. 1832년 대선거법 개혁 통과 (영국 민주주의 발전)
    2. 의회 개혁 및 선거구 조정
    3. 노예제 폐지법(1833년) 제정
    4. 자유주의적 정책 추진
    5. 건강 문제로 사임

26. 멜버른 경 윌리엄 램 (Viscount Melbourne, William Lamb)

  • 출생연도: 1779년
  • 임기: 1차 (1834년 7월 16일 ~ 1834년 11월 14일) / 2차 (1835년 4월 18일 ~ 1841년 8월 30일)
  • 주요 업적:
    1. 빅토리아 여왕의 정치적 멘토 역할 수행
    2. 노동자 권리 및 빈민 구제 정책 추진
    3. 보수당과의 갈등으로 짧은 1차 임기
    4. 두 번째 임기에서 자유주의 개혁 지속
    5. 정치적 압력 속에서 사임

27. 로버트 필 경 (Sir Robert Peel)

  • 출생연도: 1788년
  • 임기: 1차 (1834년 12월 10일 ~ 1835년 4월 18일) / 2차 (1841년 8월 30일 ~ 1846년 6월 29일)
  • 주요 업적:
    1. 현대 경찰 제도의 기틀 마련 (“Bobbies” 창설)
    2. 곡물법 폐지(1846년) 추진 → 자유무역 강화
    3. 경제 개혁 및 조세 개혁 시행
    4. 보수당 내부 분열 초래 (자유주의 정책 도입)
    5. 1846년 당내 반대 속 사임

28. 러셀 백작 존 러셀 (The Earl Russell, John Russell)

  • 출생연도: 1792년
  • 임기: 1차 (1846년 6월 30일 ~ 1852년 2월 21일) / 2차 (1865년 10월 29일 ~ 1866년 6월 28일)
  • 주요 업적:
    1. 곡물법 폐지 후 자유무역 확대
    2. 교육 개혁 추진 (공립학교 지원)
    3. 아일랜드 대기근 대응책 실행
    4. 보수당의 반대로 개혁 법안 통과 실패
    5. 정치적 압박 속 두 차례 사임

29.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The Earl of Derby, Edward Smith-Stanley)

  • 출생연도: 1799년
  • 임기: 1차 (1852년 2월 23일 ~ 1852년 12월 19일) / 2차 (1858년 2월 20일 ~ 1859년 6월 11일) / 3차 (1866년 6월 28일 ~ 1868년 2월 25일)
  • 주요 업적:
    1. 보수당 총리로 세 차례 재임
    2. 1867년 제2차 선거법 개혁안 통과
    3. 인도 통치 체제 개편 (인도 제국 수립 기초)
    4. 대외 정책에서 영국 제국 확장 노력
    5. 건강 악화로 총리직 사임

30. 팔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The Viscount Palmerston, Henry John Temple)

  • 출생연도: 1784년
  • 임기: 1차 (1855년 2월 6일 ~ 1858년 2월 19일) / 2차 (1859년 6월 12일 ~ 1865년 10월 18일)
  • 주요 업적:
    1. 강경 외교 정책 추진 (“거너 보트 외교”)
    2. 크림 전쟁(1853~1856) 영국의 승리 주도
    3. 공공위생 개혁 및 인프라 확충
    4. 영국 산업 혁명 확산 정책
    5. 재임 중 사망

31. 벤저민 디즈레일리 (Benjamin Disraeli)

  • 출생연도: 1804년
  • 임기: 1차 (1868년 2월 27일 ~ 1868년 12월 1일) / 2차 (1874년 2월 20일 ~ 1880년 4월 21일)
  • 주요 업적:
    1. 영국 보수당의 주요 지도자로 성장
    2. 영국 제국주의 강화 정책 추진
    3. 수에즈 운하 지분 매입(1875년)
    4. 공공 보건 및 노동자 보호법 도입
    5.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 조율

32. 윌리엄 글래드스톤 (William Gladstone)

  • 출생연도: 1809년
  • 임기: 1차 (1868년 12월 3일 ~ 1874년 2월 17일) / 2차 (1880년 4월 23일 ~ 1885년 6월 9일) / 3차 (1886년 2월 1일 ~ 1886년 7월 20일) / 4차 (1892년 8월 15일 ~ 1894년 3월 2일)
  • 주요 업적:
    1. 자유주의 개혁 주도 (교육 개혁, 세제 개혁)
    2. 아일랜드 자치권 확대 시도
    3. 공공 행정 개혁 및 사회 복지 제도 도입
    4. 대영 제국 확대 정책 반대
    5. 84세에 총리직 은퇴 (영국 최고령 총리 기록)

33. 로즈베리 백작 아치볼드 프림로즈 (The Earl of Rosebery, Archibald Primrose)

  • 출생연도: 1847년
  • 임기: 1894년 3월 5일 ~ 1895년 6월 22일
  • 주요 업적:
    1. 자유당 소속으로 외교 정책에 중점
    2. 영국 제국주의 확대 정책 유지
    3. 국내 개혁 추진 실패
    4. 당내 분열로 약한 정치적 기반
    5. 총선 패배 후 사임

34. 솔즈베리 후작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The Marquess of Salisbury, Robert Gascoyne-Cecil)

  • 출생연도: 1830년
  • 임기: 1차 (1885년 6월 23일 ~ 1886년 1월 28일) / 2차 (1886년 7월 25일 ~ 1892년 8월 11일) / 3차 (1895년 6월 25일 ~ 1902년 7월 11일)
  • 주요 업적:
    1. 영국 제국주의 정책 강화
    2. 아프리카 식민지 확장 (2차 보어 전쟁)
    3. 외교 정책에서 강경 노선 유지
    4. 영국 해군력 증강
    5. 건강 문제로 1902년 사임

35. 아서 밸푸어 (Arthur Balfour)

  • 출생연도: 1848년
  • 임기: 1902년 7월 11일 ~ 1905년 12월 5일
  • 주요 업적:
    1. 영국 해군력 확충
    2. 교육법 개혁(1902년)
    3. 러일전쟁(1904~1905년) 중 일본과 동맹 유지
    4. 자유무역 문제로 보수당 내 갈등
    5. 총선 패배 후 사임

36. 헨리 캠벨배너먼 (Henry Campbell-Bannerman)

  • 출생연도: 1836년
  • 임기: 1905년 12월 5일 ~ 1908년 4월 3일
  • 주요 업적:
    1. 자유당 정부 수립
    2. 보어 전쟁 이후 남아프리카 정책 조정
    3. 아일랜드 자치권 문제 논의 시작
    4. 공공 복지 확대 시도
    5. 건강 악화로 사임

37.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Herbert Henry Asquith)

  • 출생연도: 1852년
  • 임기: 1908년 4월 5일 ~ 1916년 12월 5일
  • 주요 업적:
    1. 국민 보험법(1911년) 도입 → 사회복지 제도 강화
    2. 영국 상원의 거부권 제한 (1911년 의회법)
    3. 제1차 세계대전(1914~1918년) 중 총리직 수행
    4. 전쟁 초기 전략 실패로 비판받음
    5. 당내 압력으로 1916년 사임

38.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David Lloyd George)

  • 출생연도: 1863년
  • 임기: 1916년 12월 7일 ~ 1922년 10월 19일
  • 주요 업적:
    1. 제1차 세계대전 승리 주도
    2. 전후 복구 정책 및 베르사유 조약(1919년) 체결
    3. 아일랜드 문제 해결 시도 (1921년 영국-아일랜드 조약)
    4. 영국 내 경제 침체 대응 실패
    5. 보수당과의 연립정부 붕괴로 사임

39. 앤드루 보너 로 (Andrew Bonar Law)

  • 출생연도: 1858년
  • 임기: 1922년 10월 23일 ~ 1923년 5월 22일
  • 주요 업적:
    1. 보호무역 정책 추진
    2. 보수당 내부 개혁 시도
    3. 건강 악화로 7개월 만에 사임
    4. 영국 역사상 가장 짧은 총리 중 한 명
    5. 사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

40. 스탠리 볼드윈 (Stanley Baldwin)

  • 출생연도: 1867년
  • 임기: 1차 (1923년 5월 22일 ~ 1924년 1월 16일) / 2차 (1924년 11월 4일 ~ 1929년 6월 5일) / 3차 (1935년 6월 7일 ~ 1937년 5월 28일)
  • 주요 업적:
    1. 영국 경제 대공황 대응
    2. 보호무역 강화 및 산업 정책 조정
    3. 1936년 에드워드 8세의 퇴위 사태 해결
    4. 나치 독일 견제 위한 재무장 시도
    5. 1937년 은퇴 후 정계에서 물러남

41. 제임스 램지 맥도널드 (James Ramsay MacDonald)

  • 출생연도: 1866년
  • 임기: 1차 (1924년 1월 22일 ~ 1924년 11월 4일) / 2차 (1929년 6월 5일 ~ 1935년 6월 7일)
  • 주요 업적:
    1. 영국 최초의 노동당 출신 총리
    2. 사회복지 정책 강화
    3. 세계 대공황(1929년) 대응 실패로 노동당 내부 분열
    4. 1931년 국가정부(National Government) 구성
    5. 건강 악화로 1935년 사임

42. 네빌 체임벌린 (Neville Chamberlain)

  • 출생연도: 1869년
  • 임기: 1937년 5월 28일 ~ 1940년 5월 10일
  • 주요 업적:
    1. 독일과의 뮌헨 협정(1938년) → 유화 정책
    2. 제2차 세계대전(1939년) 발발 → 유화 정책 실패
    3. 독일의 폴란드 침공(1939년) 후 전쟁 선포
    4. 정치적 압력으로 사임
    5. 사임 후 몇 달 만에 사망

43. 윈스턴 처칠 (Winston Churchill)

  • 출생연도: 1874년
  • 임기: 1차 (1940년 5월 10일 ~ 1945년 7월 26일) / 2차 (1951년 10월 26일 ~ 1955년 4월 7일)
  • 주요 업적:
    1.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지도
    2. 독일과의 전쟁 승리 주도(1945년)
    3. 전후 복구 정책 추진
    4. 냉전 초기 강경 반소련 정책 유지
    5. 건강 문제로 두 번째 임기 중 사임

44. 클레멘트 애틀리 (Clement Attlee)

  • 출생연도: 1883년
  • 임기: 1945년 7월 26일 ~ 1951년 10월 26일
  • 주요 업적:
    1. 영국 복지국가 체제 수립 (NHS 창설)
    2. 경제 국유화 및 사회 개혁
    3. 인도 독립(1947년) 승인
    4. 냉전 시대 영국의 NATO 가입(1949년)
    5. 보수당의 반격으로 1951년 총선 패배

45. 앤서니 이든 (Anthony Eden)

  • 출생연도: 1897년
  • 임기: 1955년 4월 7일 ~ 1957년 1월 10일
  • 주요 업적:
    1. 수에즈 위기(1956년)로 정치적 위기
    2. 보수당 정부 내 외교 정책 주도
    3. 건강 악화로 조기 사임
    4. 이후 외교 분석가로 활동
    5. 정치적 평가에서 논란이 많은 인물

46. 해럴드 맥밀런 (Harold Macmillan)

  • 출생연도: 1894년
  • 임기: 1957년 1월 10일 ~ 1963년 10월 18일
  • 주요 업적:
    1. 영국 경제 성장 주도 (“You’ve never had it so good”)
    2. 냉전 속 미국과 협력 강화
    3. 아프리카 탈식민지화 가속
    4. 유럽경제공동체(EEC) 가입 시도 (프랑스 반대)
    5. 건강 문제 및 당내 스캔들로 사임

47. 알렉 더글러스-홈 (Alec Douglas-Home)

  • 출생연도: 1903년
  • 임기: 1963년 10월 19일 ~ 1964년 10월 16일
  • 주요 업적:
    1. 귀족 출신의 마지막 총리
    2. 당내 개혁 시도
    3. 경제 문제 대응 실패
    4. 1964년 총선 패배 후 사임
    5. 이후 외교장관으로 활동

48. 해럴드 윌슨 (Harold Wilson)

  • 출생연도: 1916년
  • 임기: 1차 (1964년 10월 16일 ~ 1970년 6월 19일) / 2차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주요 업적:
    1. 영국 경제 현대화 추진
    2. 복지 정책 확대
    3. 노동조합과의 갈등 증가
    4. 1970년 총선 패배 후 퇴진
    5. 1974년 재집권 후 건강 문제로 조기 사임

49. 에드워드 히스 (Edward Heath)

  • 출생연도: 1916년
  • 임기: 1970년 6월 19일 ~ 1974년 3월 4일
  • 주요 업적:
    1. 영국의 유럽경제공동체(EEC) 가입(1973년)
    2. 노동조합과의 갈등 심화 → 대규모 파업 발생
    3. 경제 위기 속 “3일 근무제” 도입(1973년 석유 파동)
    4. 1974년 총선에서 패배 후 퇴진
    5. 이후 보수당 내에서 마거릿 대처와 갈등

50. 해럴드 윌슨 (Harold Wilson) (2차)

  • 출생연도: 1916년
  • 임기: 1974년 3월 4일 ~ 1976년 4월 5일
  • 주요 업적:
    1. 경제 침체 대응 (영국 파운드화 평가 절하)
    2. 노동조합과 협력하여 파업 해결 시도
    3. 영국 내 실업률 증가 및 인플레이션 심화
    4. 건강 문제로 조기 사임
    5. 퇴임 후 정계에서 은퇴

51. 제임스 캘러헌 (James Callaghan)

  • 출생연도: 1912년
  • 임기: 1976년 4월 5일 ~ 1979년 5월 4일
  • 주요 업적:
    1. 1976년 IMF 구제금융 요청 → 경제 위기 대응
    2. “불만의 겨울(1978-1979)” 노동조합 대규모 파업
    3. 실업률 상승 및 물가 폭등
    4. 보수당의 반격으로 총선 패배
    5. 이후 노동당 당수직 사임

52. 마거릿 대처 (Margaret Thatcher)

  • 출생연도: 1925년
  • 임기: 1979년 5월 4일 ~ 1990년 11월 28일
  • 주요 업적:
    1.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
    2.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 도입 (“대처리즘”)
    3. 공공기관 대규모 민영화 추진
    4. 포클랜드 전쟁(1982년) 승리
    5. 강경 노동정책으로 노조 세력 약화
    6. 보수당 내부 반발로 1990년 사임

53. 존 메이저 (John Major)

  • 출생연도: 1943년
  • 임기: 1990년 11월 28일 ~ 1997년 5월 2일
  • 주요 업적:
    1. 대처의 경제 정책 유지, 보완
    2. 1992년 유럽환율메커니즘(ERM) 가입 후 파운드화 폭락 (“검은 수요일”)
    3.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 착수
    4. 보수당 내 분열 심화 → 1997년 총선 패배
    5. 퇴임 후 정치에서 은퇴

54. 토니 블레어 (Tony Blair)

  • 출생연도: 1953년
  • 임기: 1997년 5월 2일 ~ 2007년 6월 27일
  • 주요 업적:
    1. 노동당 개혁 (“제3의 길”) → 뉴 레이버(New Labour) 정책 추진
    2. 북아일랜드 평화협정(1998년 굿프라이데이 협정) 체결
    3. 공공복지 및 교육 투자 확대
    4. 이라크 전쟁(2003년) 개입 → 정치적 논란
    5. 2007년 고든 브라운에게 총리직 승계

55. 고든 브라운 (Gordon Brown)

  • 출생연도: 1951년
  • 임기: 2007년 6월 27일 ~ 2010년 5월 11일
  • 주요 업적:
    1.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대응 → 은행 구제 정책 시행
    2. NHS 및 복지 정책 확대
    3. 노동당 지지율 하락으로 총선 패배
    4. 2010년 총리직 사임 후 정계 은퇴

56. 데이비드 캐머런 (David Cameron)

  • 출생연도: 1966년
  • 임기: 2010년 5월 11일 ~ 2016년 7월 13일
  • 주요 업적:
    1. 보수당-자유민주당 연정 구성 (2010년)
    2. 긴축 재정 정책 추진
    3. 2014년 스코틀랜드 독립 국민투표 → 독립 반대 유지
    4.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 → EU 탈퇴 결정
    5. 브렉시트 결과에 책임을 지고 총리직 사임

57. 테레사 메이 (Theresa May)

  • 출생연도: 1956년
  • 임기: 2016년 7월 13일 ~ 2019년 7월 24일
  • 주요 업적:
    1. 브렉시트 협상 진행 → 유럽연합 탈퇴 조건 협상 시도
    2. 2017년 조기 총선 실시 → 과반 확보 실패
    3. 당내 반발로 브렉시트 합의안 통과 실패
    4. 보수당 내 불신임으로 총리직 사임

58. 보리스 존슨 (Boris Johnson)

  • 출생연도: 1964년
  • 임기: 2019년 7월 24일 ~ 2022년 9월 6일
  • 주요 업적:
    1. 브렉시트 최종 완료 (2020년 1월 31일)
    2.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3. 2021년 G7 정상회의 개최
    4. 우크라이나 전쟁(2022년) 대응 → 대러시아 제재 강화
    5. 파티게이트(코로나 봉쇄 중 파티 개최) 논란으로 사임

59. 리즈 트러스 (Liz Truss)

  • 출생연도: 1975년
  • 임기: 2022년 9월 6일 ~ 2022년 10월 25일
  • 주요 업적:
    1. 영국 역사상 최단기 총리(49일)
    2. 감세 정책 발표 후 금융시장 혼란
    3. 경제정책 실패로 보수당 내 반발
    4. 총리직 취임 후 두 달도 안 돼 사임

60. 리시 수낵 (Rishi Sunak, 현 총리)

  • 출생연도: 1980년
  • 임기: 2022년 10월 25일 ~ 현재
  • 주요 업적:
    1. 영국 경제 안정화 정책 추진
    2. 인플레이션 및 에너지 위기 대응
    3. 이민 정책 강화
    4. 영국-EU 관계 조율 중

다른 글 더 보기 비트코인캐시 정보

다른 글 더 보기 코스피, 코넥스, 코스닥 차이

다른 글 더 보기 당뇨병에 대해서 알아보자.(원인, 증상, 치료, 좋은음식)

다른 글 더 보기 원숭이두창이 무엇일까? 새로운 전염병?(원두바이러스), 원숭이두창관련주

다른 글 더 보기 대한민국 국제결혼 통계 2021년